시조세계 2002 겨울호 시조평 시조세계 2002 겨울호 시조평 「지난 계절의 문제작․쟁점」 네거티브 의식에서의 서정성과 시의 완성도 권 혁 모 1 흔히 우리는 어떤 풍경이나 이야기 혹은 글을 대할 경우 ‘시적이다’라는 표현을 쓸 때가 있다. 하얀 설원을 배경으로 한 영화의 한 장면에서부터 명배우의 연기라든가, .. 문학 이야기/시조 평론 1 2020.04.12
시조세계 2002 봄호 시조 작품평 □ 시조의 창가에서(‘시조세계’ 봄호를 읽고) 봄의 시, 시의 봄 권 혁 모 1 지난겨울, 한반도가 하얀 눈으로 덮여 있었을 때, 나는 지중해가 있는 이스라엘을 여행할 수 있었다. 지금의 정황은 여행이 금지될 정도로 매우 심각하지만, 당시에는 여행을 하거나 생활하는데 큰 불편이 없는 .. 문학 이야기/시조 평론 1 2020.04.12
이대걸의 수필집 <들풀> 발문 □ 이대걸의 세 번째 수필집 『들풀』 이대걸의 들풀, 그 에스프리 권혁모(시인⋅한국문인협회 문학정보화위원장) 수필가 이대걸 선생은 천생 안동 사람이다. 누에가 명주실을 토하듯 끊이지 않는 그의 서정 세계에서 안동이 보이고, 안동이 보이는 누각 위에 그가 앉아 있는 듯하다. 청.. 문학 이야기/시조 평론 1 2019.10.18
2018. 한라일보 신춘문예 심사평 2018 <한라일보> 신춘문예 심사평 망초꽃 사설 / 박미소 모내기 끝난 논 갈아엎는 개구리처럼 울 엄마 서러움이 서성거린 강둑에서 남몰래 그러안은 밤, 물소리에 잠기고 오늘도 밝은 달이 세상을 비추었지만 혼자서 못 건너갈 넓은 강 바라보며 하얗게 쪼그려 앉아 울먹이는 그림자 다.. 문학 이야기/시조 평론 2 2019.09.13
<한국동서문학> 제 30호 시조 계간평- 시조에서의 그리움 모으기 □ 『한국동서문학』 제 30호 시조 작품평 – 시조에서의 그리움 모으기 권 혁 모 어느 곳간과 헛간이 가까운 돌담 틈에서 들쥐 가족의 대화가 이어진다. 이들 중 프레드릭만 빼고는 모두 겨울을 날 양식을 준비하는 중이다. 다른 들쥐의 물음에 프레드릭은 이렇게 답한다. “나도 일하고 .. 문학 이야기/시조 평론 2 2019.06.20
석모도 석모도 권 혁 모 반짝이는 난바다에 무릎 꿇어야 하나 펄펄 끓어 타는 속을 게워낸다 석모도야 때까지 편대 비행을 너도 맞장구치고 천지가 혼돈 속에 머릿결 다 풀었다 가야 할 길은 멀고 쓰나미로 덮는 황사 언제쯤 수평선 어깨에 기대어 서 보나 들고 나는 물때를 골라 갯벌로 누워야.. 문학 이야기/권혁모의 시조 1 2018.02.19
권혁모의 시에 스민 아우라 권혁모의 시에 스민 아우라 이 동 백(시인) 1 시인 권혁모는「하회동 소견」으로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화려하게 문단에 등단했다. 이것이 1984년의 일이니 그는 시력(詩歷) 30년에 이른 중견 작가이다. 나는 그와 고등학교 동창의 인연으로 45년 지기(知己)인 셈인지만, 문학의 길에서 .. 문학 이야기/시조 평론 1 2018.01.07
입맞춤 입맞춤- 권혁모 이선 시 읽기 / 시창작론숲 2017. 10. 13. 17:31 http://blog.naver.com/shunzi75/221116403753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입맞춤 권 혁 모 삐치고 치켜 올린 선과 선이 다시 살아 연초록 혹은 연분홍 나래가 되기까지 허공을 마냥 날아서 너를 만나기까지. 진정 황홀 앞에선 천지도 눈을 감네 .. 문학 이야기/권혁모의 시조 2 2018.01.04